Git

Github 시작하기

signal시노 2024. 9. 25. 11:46

깃허브란 무엇인가?

쉽게 얘기하자면 깃에서 만든 파일을 관리해주는 곳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여러 사람과 협업하는 데 있어서 편의성을 제공해준다.

사실 혼자 개발할거면 귀찮게 다른 곳에 파일을 저장할 필요가 없다.

 

나는 vscode를 사용하니 vscode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우선 깃허브를 가입하자.

그리고 vscode의 왼쪽 하단에 계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github 로그인이 있다.

로그인하려면 깃허브에서 생성한 토큰을 이용하거나 웹페이지에서 인증하면 된다.

 

다시 깃허브 웹페이지에서 repository를 만들어보자

 

리포지토리 네임은 프로젝트명으로 하면 될 것이다.(연습이니 아무렇게나 하자)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하면 리포지토리가 생성된다.

 

만든 리포지토리에 들어가보면

이 화면이 나올 것이다.

초록색 Code를 클릭하면

 

여기에서 주소 옆에 복사 아이콘을 눌러 URL을 복사하자.

 

다시 vscode로 돌아온다.

터미널에서

git init

을 입력한다

깃을 초기화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항상 git을 시작하기 전에 git init을 해준다고 생각하자.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URL

을 입력하자

git에 원격으로 나의 리포지토리 URL에 연결해주는 것이다.

URL이 길기 때문에 URL 대신 origin으로 대체한다고 생각하자.

 

git remote -v

를 입력하면 연결된 리포지토리 URL을 알려준다.

 

현재 작업한 프로젝트 파일을 올리려면 branch의 이름을 확인하자.(디폴트는 main이거나 master)

터미널에서 브랜치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git branch

 

브랜치를 생성하려면

git checkout -b 브랜치명

 

현재 존재하는 브랜치에 업로드를 하고싶다면

git add .

git commit -m "작업 코멘트"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으로 업로드 할 수 있다.

 

git add .는 현재 변경된 모든 파일을 스테이지에 저장한다.

 

git commit -m "작업 코멘트" 는 스테이징 영역에 있는 변경 사항을 하나의 스냅샷으로 기록한다.

즉, 현재 상태를 새로운 커밋으로 생성한다.

커밋이 생성되면 해당 변경 사항은 로컬 Git 저장소의 이력에 저장된다.

 

git push origin 브랜치명은 원격 저장소(github의 리포지토리)에 존재하는 브랜치에 해당 파일을 업로드한다.

 

업로드에 성공했다면 소리지르자.

 

다음엔 원격저장소에서 프로젝트를 가져오는 방법, 작업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it(커밋)메세지  (0) 2024.10.01
Git - branch를 이용하자  (0) 2024.09.26
branch란?  (0) 2024.09.25
git 설치 및 설정  (0) 2024.09.25